|
원문은 ZVON의 Regular Expressions Tutorial을 참조하면됨
먼저 정규식에서 사용되는 특수의미의 문자들 정리부터하고...
\w |
영숫자 문자나 밑줄과 일치. [a-zA-Z0-9_] |
\W |
\w와 반대로 일치. [^a-zA-Z0-9_] |
\d |
모든 숫자와 일치. [0-9]와 동일 |
\D |
\d와 반대. [^0-9]와 동일 |
\s |
White space문자들(space(공백), tab(탭), new line(엔터키) 등과 같은 문자 찾기. [\f\n\r\t\v] |
\S |
\s와 반대로 일치. [^\f\n\r\t\v] |
\cx |
x로 표시된 제어문자 찾기. x는 [A-Za-z] 이어야 함. 아니면 c는 리터럴 'c'로 간주 예) \cM = Control-M 이나 캐리지 리턴 문자. |
\xn |
n으로 표시된 16진수 이스케이프 값과 일치. 16진수는 정확히 2자리여야 함 |
\0n |
n으로 표시된 8진수 숫자와 일치.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음 |
\t |
탭 문자 찾기. \x09, \cI |
\v |
세로 탭 문자 찾기. \x0b, \cK |
\n |
줄 바꿈 문자 찾기. \x0a, \cJ |
\r |
캐리지 리턴. \x0d, \cM |
\f |
용지 공급 문자 찾기. 페이지 넘기기(formfeed) = \x0a3, \cL |
[\b] |
역스페이스 |
캐릭터 클래스의 사용법을 설명 |
||||||
Source |
||||||
|
||||||
캐릭터 클래스는 [ ]안에 넣어주어야 하는 문자들을 미리 정의해둔 개념으로, [ ]안에 문자들을 쓰는것과 동일하지만, 검색패턴의 글자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알아두면 편리함 |
||||||
Test Case |
||||||
Case 1
|
||||||
\w는 대문자와 소문자, 숫자와 _(밑줄)의 집합, 즉 표현식 [a-zA-Z0-9_]의 의미 |
||||||
Case 2
|
||||||
\w뒤에 수량자 *가 왔으므로, 대문자와 소문자, 숫자와 _으로 시작하는 임의의 길이에 해당하는 문자열을 의미 |
||||||
Case 3
|
||||||
소문자로 시작하는 문자열중 대문자와 소문자, 숫자와 _으로 구성되는 임의의 문자열을 의미 |
||||||
Case 4
|
||||||
대문자와 소문자, 숫자와 _으로 구성되는 5자리 임의의 문자열을 의미 |
||||||
Case 5
|
||||||
\w와 동일한 의미 |
캐릭터 클래스의 사용법을 설명 |
||||||
Source |
||||||
|
||||||
캐릭터 클래스는 [ ]안에 넣어주어야 하는 문자들을 미리 정의해둔 개념으로, [ ]안에 문자들을 쓰는것과 동일하지만, 검색패턴의 글자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알아두면 편리함 |
||||||
Test Case |
||||||
Case 1
|
||||||
\W는 대문자와 소문자, 숫자와 _(밑줄)을 제외한 문자의 집합, 표현식 [^a-zA-Z0-9_]의 의미 |
||||||
Case 2
|
||||||
대문자와 소문자, 숫자와 _(밑줄)에 해당하는 문자를 의미 |
||||||
Case 3
|
||||||
[ ]안에서 ^가 사용되면 부정의 의미이므로 [^A-z0-9_]는 대문자와 소문자, 숫자와 _(밑줄)을 제외한 문자의 집합, 캐릭터 클래스 \W 와 동일한 의미 |
캐릭터 클래스의 사용법을 설명
캐릭터 클래스의 사용법을 설명 |
||||||
Source |
||||||
|
||||||
캐릭터 클래스는 [ ]안에 넣어주어야 하는 문자들을 미리 정의해둔 개념으로, [ ]안에 문자들을 쓰는것과 동일하지만, 검색패턴의 글자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알아두면 편리함 |
||||||
Test Case |
||||||
Case 1
|
||||||
\d는 숫자 0~9까지를 의미, 표현식 [0-9_] 또는 [0123456789]의 의미 |
||||||
Case 2
|
||||||
\D는 \d의 반대를 의미, 표현식 [^0-9_] 또는 [^0123456789]의 의미 |
||||||
Case 3
|
||||||
\d와 같은 의미. 만일 개발 언어에서 \d를 지원하지 않으면 [0-9]를 사용 |
'소프트웨어 > 개발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규 표현식을 배워보자 #08 위치지정과 패턴 (0) | 2019.01.18 |
---|---|
정규 표현식을 배워보자 #06 수량자 #2 (0) | 2019.01.17 |
정규 표현식을 배워보자 #05 수량자 #1 (0) | 2019.01.16 |
정규 표현식을 배워보자 #04 특정 문자와 서브패턴 (0) | 2019.01.16 |
정규 표현식을 배워보자 #03 이스케이핑 과 문자그룹 (0) | 2019.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