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법 연구소

시험 직전, 성적을 올리는 복습법 이번엔 확실히 공부했다고 생각했는데, 시험 문제만 받으면 왜 이렇게 헷갈리는 것 투성인지..이걸 진짜 아는건지 모르는건지 확인해볼 수 있는 복습법을 아이엠스쿨 공부법연구소에서 파헤쳤습니다! ----------------------------------------------- 시험 성적이 안 나오는 이유는 여러 가지 입니다. 긴장이 전부는 아니지요. 자신이 잘 알고 있다는 착각에 빠진 경우도 있습니다. 왜 잘 모르는 것을 잘 알고 있다고 착각할까요? 잘 안다는 착각(fluency illusion) 때문입니다. 더 공부해야 할 내용을 잘 안다고 생각해버리는 거지요. 수학을 공부하고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많은 경우 학생들은 ‘잘 안다는 착각’에 빠집니다. 선생님이나 강사님은 학생 앞에서 아주 쉽게 문제를 풀어.. 더보기
게임처럼 즐거운 공부 우리 아이가 게임하듯이 공부를 한다면 전교 1등은 문제없을텐데 공부는 왜 이리도 지겨워하는 걸까요? 아이엠스쿨 공부법 연구소에서 파헤쳤습니다! --------------------------------------- 우리 아이가 게임하듯이 공부하면 전교 1등도 문제 없을 텐데. 왜 아이들은 공부를 그토록 지겨워하는 걸까요? 게임과 공부의 차이점, 정말 많지만 그중 한 가지에 대해서만 말씀드려보려 합니다. 그건 바로 ‘실패’에 대한 가혹함의 차이입니다. 프랑스에서 한 연구를 시행했습니다. 6학년 아이들에게 아주 어려운 수학 문제를 주어서, 좌절을 겪게 해보았습니다. 공부하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 겪게 되는 과정이죠. 연구자들은 이후 학생을 두 그룹으로 나누었습니다. 첫 번째 그룹은 실수는 자전거 타는 법을 .. 더보기
적은 시간 투자로도 성적 잘 받는 공부법 뭔가 공부는 많이 하는 것 같은데 성적은 안 오르고 때론 나보다 공부를 안 한 친구보다 성적이 좋지 않아 답답할 때가 있습니다. 대체 무엇이 문제일까요? 아이엠스쿨 공부법 연구소에서 파헤쳤습니다! ---------------------------------------- 1만 시간의 법칙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무엇이든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1만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는 법칙을 말합니다. 이 법칙에 따르면 일단 1만 시간을 투자한 사람만이 자신이 재능이 있는지 없는지 검증해볼 수 있다고 합니다. 1만 시간을 투자하지 않은 천재보다는 재능은 없지만 1만 시간을 노력한 사람이 더 무엇이든 잘한다는 것이죠. 예를 들어 모차르트는 전형적인 천재였습니다. 하지만 그가 10대 초반에 쓴 곡은 평범했습니다. 1만 시간 .. 더보기
공부 잘하는 학생의 숨겨진 비밀 성공의 비결은 흔히 '인내'라고 합니다. 이를 뒷받침하는 실험이 바로 '마시멜로 실험'입니다. 성공하는 아이의 조건을 밝혀낸 실험으로 특히 유명하지요. 하지만 그것이 전부가 아니라고 합니다. 같이 살펴보실까요? 월터 미첼 스탠포드 대학 심리학과 교수는 한 가지 실험을 했습니다. 아이에게 마시멜로를 주고, 자신이 돌아올 때까지 이 마시멜로를 안 먹고 참으면 두 개를 주겠다고 약속한 후 15분간 아이를 혼자 둔 것입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15분을 참지 못하고 마시멜로를 먹었습니다. 일부 아이들은 마시멜로를 먹지 않고 기다려 두 개를 받았습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마시멜로를 먹지 않고 기다린 학생이 훨씬 더 성공 확률이 높았습니다. 이들은 SAT(미국 수능) 점수가 높았습니다. IQ, 성별, 부모의 경제.. 더보기
암기력을 올리는 비법, 기억의 단서 저번 시간에는 공부를 잘하는 세 가지 비법 중 두 번째 ‘전문가적 연습’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재미있는 이야기가 하나 있었는데요, 우리가 알고 있는 ‘천재성’은 사실 지능이라기보다는 연습을 ‘기억하는 능력’이라는 말이었습니다. 그만큼 기억력이 중요하다는 뜻이겠지요. 천재성뿐만 아니라 기억력은 많은 분야에서 중요합니다. 사실 고등학교까지의 교육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암기입니다. 우선 아는 것이 없으면 응용을 하기도 어려우므로 저학년일수록 암기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그렇다면 암기력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방법은 없을까요? 고대 그리스 시절부터 석학들은 암기 기술에 많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종이가 없고, 필기가 비싸던 시절, 암기는 가장 확실한 공부법이었습니다. 역사적으로 암기를 위한 많은 기술.. 더보기
공부, 많이 한다고 잘 하는게 아니라고요? 공부, 많이 한다고 잘 하는게 아니라고요? 저번 시간에는 공부 잘하는 비법으로 ‘성장 사고방식’과 성장 사고방식을 일깨우는 칭찬법을 배워보았습니다. 오늘은 공부를 잘하는 또 하나의 비법 ‘전문가적 연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만 시간의 법칙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무엇이든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1만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는 법칙을 말합니다. 이 법칙에 따르면 일단 1만 시간을 투자한 사람만이 자신이 재능이 있는지 없는지 검증해볼 수 있다고 합니다. 1만 시간을 투자하지 않은 천재보다는 재능은 없지만 1만 시간을 노력한 사람이 더 무엇이든 잘한다는 것이죠. 예를 들어 모차르트는 전형적인 천재였습니다. 하지만 그가 10대 초반에 쓴 곡은 평범했습니다. 1만 시간 동안 작곡을 한 후에야 비로소 그는 천재성을.. 더보기
아이를 망치는 칭찬, 아이를 키우는 칭찬 아이를 망치는 칭찬, 아이를 키우는 칭찬 아이를 더 똑똑하게 만들어주고 싶다. 많은 부모들의 소망입니다. 그래서 ‘영재교육’과 ‘조기교육’이 성황이겠지요. 하지만 안타깝게도 2013년 Protzko라는 연구자가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조기교육으로 머리가 좋아지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아이의 지능은 키와 같아서 너무 많은 요인에 따라 결정이 됩니다. 부모가 이렇게 하고 저렇게 한다고 아이의 지능을 키우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실망할 필요는 없습니다. 미시간대 심리학 석좌교수 리처드 니스벳은 아이의 지능을 올릴 수 있는 3가지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바로 성장 사고방식, 전문가적인 연습, 그리고 기억의 단서 제작입니다. 오늘은 그 중 첫 번째, 성장 사고방식에 대해서 다루어 보겠습니다. 성장 사고방식에 대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