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케치(아두이노 개발환경) 알아보기
스캐치를 실행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표시가 되는데, 자주 사용되는 버튼에 대하여 설명을 해보면
① 확인
- 작성한 프로그램(소스코드)를 컴파일합니다. 컴파일이란 소스코드를 검사하여 문법적, 구조적인
오류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며, 작업결과는 ⑦번 메시지 영역에 표시됩니다.
② 업로드
- 컴파일과 업로드를 순서대로 실행합니다.
컴파일과정에서 오류가 발생되지 않을경우 아두이노로 전송까지 해줍니다.
PC와 아두이노간 USB케이블 연결에 문제가 있을경우 또는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아두이노 보드로 업로드 되었을 경우 해당 메시지를 ⑦번 메시지 영역에 표시합니다.
③ 새파일
- 새로운 소스코드 작성을 위한 스케치 창이 표시됩니다.
④ 열기
- 예제파일 또는 예전에 작성하여 저장했거나 다운로드 받은 스케치 파일을 엽니다.
⑤ 저장
- 현재 작성중인 스케치 파일을 저장합니다
⑥ 시리얼 모니터
- 시리얼 모니터 창을 엽니다.
프로그램을 개발하면서 아두이노가 작동하는것을 모니터링하면서 프로그램을 수정하는 과정을 디버깅이라고 하는데, 시리얼 모니터창은 보통 Serial.write(), Serial.print()함수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디버깅할 수 있습니다.
⑦ 스케치를 이용하여 아두이노 소스코드 작성시 발생하는 컴파일 오류, 소스파일을 컴파일하여 생성된 2진파일의 크기, 2진파일을 아두이노에 업로든 한 결과등을 표시합니다.
'소프트웨어 > 개발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P 개발자 커뮤니티 (0) | 2016.06.16 |
---|---|
DB관련 참조사이트 (0) | 2016.06.16 |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 #001 (0) | 2016.06.14 |
아두이노 개발환경 #000 (0) | 2016.06.14 |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 #000 (0) | 2016.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