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Internet of Things) : 사물인터넷
인간과 사물, 서비스 세가지 분산된 환경 요소에 대하여 인간의 명시적 개입없이 상호 협력적으로 센싱, 네트워킹, 정보처리 등 지능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물 공간 연결망
IoT 3대 주요 기술 : 센싱,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IoT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센싱기술 : 전통적인 온도/습도/열/가스/조도/초음파 센서등에서 부터 원격 감지, SAR, 레이더, 위치, 모션, 영상센서 등 유형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 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물리적 센서를 포항하여, 기존의 독립적이고 개별적인 센서보다 한 차원 높은 다중(다분야) 센서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한층 더 지능적이고 고차원적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음
센서의 정의 : 주변의 물리, 화학, 생물학적 정보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모든 장치(Device)를 의미
센서 분류는 감지대상, 감지방식, 구현기술, 적용분야 등 매우 다항
감지대상별 : 물리센서(힘, 온도, 전자기, 광학 등), 화학센서(가스, 이온, 수질, 바이오 등)
감지방식별 : 저항형 센서, 용량형 센서, 광학식 센서, 자기식 센서 등
집적도별 : 단순센서, 전자식 센서, 디지털 센서, 지능형 센서
구현기술별 : 반도체센서, MEMS센서, 나노센서, 융복합센서
적용분야별 : 자동차용, 모바일용, 가전용, 환경용, 의료용, 산업용, 국방용, 우주용
스마트 센서 : (센서)외부 환경을 인식하여 상위시스템이 처리하기 쉬운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장치로 반도체, 나노/MEMS등 제조기술의 접목을 통해 외부 환경감지를 획기적으로 개선된 센서와 데이터 처리, 자동보정, 자가진단, 의사결정 등의 신호처리가 유기적으로 내장된 지능형 센서를 통칭
센서기술의 진화
1세대(Discrete Sensor) : 측정 대상물로부터 감지 및 검출한 측정량을 계측 및 판별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주는 센싱소자와 증폭,포정,보상기능의 신호처리회로가 분리되어있는 형태
2세대(Integrated Sensor) : 센싱소자와 신호처리가 결합되어 있으나, 에러 보정 폭이 제한적인고 비선형성 에러에 대한 보정 기능이 약함
3세대(Digital Sensor) : 디지털 방식의 보정을 통해 넓은 보정폭과 비선형성 에러에 대한 보정이 가능해 졌으며, 디지털 인터페이스 및 네트워킹이 가능
4세대(Smart Sensor) : Soc(System-on-a-Chip)기술의 도입과 MCU(Micro Controller Unit)가 센서에 내장되면서 논리제어 및 처리, 메모리, 통신기능을 동시에 가진 차세대 센서
센서산업의 구조 및 특징
센서산업은 칩, 패키지, 모듈의 단계를 거쳐서 대부분의 산업에 활용
- 칩 생산이 매우 중요하며, 패키지, 모듈은 활용산업의 혁신제품 개발에 영향을 크게줌
센서는 대부분 Set제품의 기능을 다향화 및 첨단화의 매개체로서, 대부분 산업의 핵심부품
- 편리/안전/인간과 기긱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서는 센서가 반드시 필요하고 그 기능도 첨단화 되고 있음
소량 다품종 생산특성과 대기업 중심의 수요기업간 상생협력이 중요한 분야
기반산업적, 융합기술,첨단지짓간업ㄷㅇ의 특성
'기타 > 미분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를 잘 키우려면 학원을 줄이고 집안일 시켜라 (0) | 2016.07.11 |
---|---|
도움이 필요한 이웃 (0) | 2016.05.26 |